티스토리 뷰
목차
✅ 대한조선 상장 이후 주가가 왜 급등했는지 궁금하신가요?
대한조선의 상장 배경부터 실적, 수주 상황, 주가 흐름과 전망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대한조선 주식, 지금 사도 될까요? 상장 직후 급등한 대한조선 주가의 전망을 냉철하게 분석합니다. 주가 상승의 핵심 원인과 향후 전망까지, 대한조선 투자 고민 중이라면 꼭 읽어보세요.
대한조선 상장 후 주가가 어디까지 갈지, 실적과 수주 흐름을 통해 전망해드립니다.
🚢 대한조선 개요
- 설립 및 상장 이력
대한조선은 1987년 설립된 신영조선공업을 전신으로, 2004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후 2009년 워크아웃, 2014년 법정관리 및 산업은행 관리 체제를 거쳐 2022년 KHI 컨소시엄에 인수된 뒤 회생에 성공했습니다. 2025년 8월 1일 코스피에 상장했으며, 상장 첫날 공모가(5만 원) 대비 약 84.8% 급등한 9만 2,4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 사업 구조 및 수주 현황
중형·준대형 유조선 중심의 조선사로, 수에즈막스급, 아프라막스급 화물선과 셔틀탱커 등을 설계·건조합니다. 2025년 7월 기준 30척, 약 26억 달러 규모의 수주잔량을 확보하고 있어 안정적 수요 기반을 갖추고 있습니다.
📊 재무 실적 및 성장성
- 매출 및 영업이익
2023년 매출은 8,164억 원, 영업이익 359억 원에서, 2024년에는 매출 1조 746억 원, 영업이익 1,582억 원으로 각각 32% 및 340% 급증했습니다. - 수익성 지표
- ROE: 약 38%
- 영업이익률: 14.7% (2023년 대비 4.4% → 14.7%)
- 부채비율: 2023년 374% → 2024년 198%로 빠른 개선 - 생산 경쟁력
블록 생산 내재화, 고용량 크레인 시스템, 도크 회전율 향상을 통해 납기 효율성 및 원가 경쟁력을 확보. 최근엔 이중연료 및 탄소 포집 기술을 탑재한 친환경 선박 설계에도 집중.
💹 주가 흐름 및 시장 환경
- 공모 청약 열기
일반 투자자 경쟁률 238.1:1, 기관 수요예측 275.7:1, 총 증거금 17조 8천억 원 몰림. - 락업 효과
기관 투자자의 61%가 의무보유확약을 체결해 초기 유통가능 비율은 약 12.6%로 낮은 편. 단기적 주가 안정성에 기여. - 상장 첫날 주가 흐름
시초가 8만 9,100원, 최고가 9만 9,400원, 종가 9만 2,400원으로 마감. 코스피 하락장 속에서 눈에 띄는 상승.
대한조선 공모주 청약 관련정보 아래에서 다시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2025.07.22 - [분류 전체보기] - 대한조선 공모주 청약 수요예측 증권사 증거금 상장일
대한조선 공모주 청약 수요예측 증권사 증거금 상장일
대한조선 공모주 청약 수요예측 증권사 증거금 상장일 확인하기! 대한조선 공모주 청약이 오늘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상장은 최근 조선업 호황과 함께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으며, 2025
88.chestnutmama.com
✅ 투자 포인트 요약
항목 | 장점 | 주의할 점 |
---|---|---|
수익성 | 2024년 영업이익률 14.7%, ROE 38% | 조선 업황 변화에 민감 |
수주 안정성 | 30척 수준, 약 26억 달러 수주잔량 | 납기 지연 리스크 존재 |
기술 경쟁력 | 친환경 선박 설계, 내재화 생산 | 기술 투자 확산 시 현금흐름 압박 |
유통 주식 제한 | 락업으로 유통 주식 제한 → 주가 안정성 | 락업 해제 이후 변동 가능성 |
⚠️ 유의할 리스크 요소
- 조선업 특유의 경기 사이클: 글로벌 원유 및 물류 수요에 따라 매출 편차 큼
- 락업 해제 이후 변동성: 일정 시점 이후 차익 실현 가능성 존재
- 재무 유동성: 성장 과정에서 운전자금 압박 가능
- 공모가 프리미엄: 상장 초기 급등분 반영으로 진입 타이밍 신중히 판단 필요
🧭 결론 –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 장기 투자자에게는: 실적 급등, 수주잔고, 친환경 기술력, 재무 개선 등 구조적 장점 보유. 다만 업황 리스크와 락업 해제 이슈는 주의 요망.
- 단기 트레이더에게는: 단기 급등 후 진입은 타이밍 관리 필요. 수급 변동 및 락업 해제 일정 관찰 필수.
✍️ 마무리 리뷰
대한조선은 단기 폭등 이후에도 구조적 성장성과 기술 경쟁력을 갖춘 신흥 중형 조선사로 분류됩니다. 친환경 설계, 생산 내재화, 개선된 재무 상태는 긍정적이지만, 조선 사이클과 유통 주식 변화는 주의 요소입니다.
공모가 상승분이 이미 주가에 반영된 만큼, 매수 시점과 투자 기간을 분명히 설정하고, 향후 수주 동향과 락업 해제 일정을 꾸준히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